- [성경본문] 느헤미야1:1-11 개역개정
-
1. 하가랴의 아들 느헤미야의 말이라 아닥사스다 왕 제이십년 기슬르월에 내가 수산 궁에 있는데
2. 내 형제들 가운데 하나인 하나니가 두어 사람과 함께 유다에서 내게 이르렀기로 내가 그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의 형편을 물은즉
3. 그들이 내게 이르되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자들이 그 지방 거기에서 큰 환난을 당하고 능욕을 받으며 예루살렘 성은 허물어지고 성문들은 불탔다 하는지라
4. 내가 이 말을 듣고 앉아서 울고 수일 동안 슬퍼하며 하늘의 하나님 앞에 금식하며 기도하여
5. 이르되 하늘의 하나님 여호와 크고 두려우신 하나님이여 주를 사랑하고 주의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 언약을 지키시며 긍휼을 베푸시는 주여 간구하나이다
6. 이제 종이 주의 종들인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주야로 기도하오며 우리 이스라엘 자손이 주께 범죄한 죄들을 자복하오니 주는 귀를 기울이시며 눈을 여시사 종의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이 범죄하여
7. 주를 향하여 크게 악을 행하여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과 율례와 규례를 지키지 아니하였나이다
8. 옛적에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여 이르시되 만일 너희가 범죄하면 내가 너희를 여러 나라 가운데에 흩을 것이요
9. 만일 내게로 돌아와 내 계명을 지켜 행하면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그들을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하신 말씀을 이제 청하건대 기억하옵소서
10. 이들은 주께서 일찍이 큰 권능과 강한 손으로 구속하신 주의 종들이요 주의 백성이니이다
11. 주여 구하오니 귀를 기울이사 종의 기도와 주의 이름을 경외하기를 기뻐하는 종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오늘 종이 형통하여 이 사람들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옵소서 하였나니 그 때에 내가 왕의 술 관원이 되었느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느헤미야 1:1-11 “택한 곳으로 돌아오게 하소서” 2022년 6월 19일
오늘날 교회 상황을 보면, 교인들이 코로나-19로 교회를 떠나더니 신앙마저도 무너져 버렸습니다. 마치 하나님을 믿는다고 교회에 찾아들어왔으나 현실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며 원망할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징계조치하신 것입니다. 거룩한 곳에서 격리시켜 세상왕국에 포로로 잡혀가듯 세상 신과 짝하도록 잠시 버린 것입니다. 마치 이스라엘 민족이 그릇된 신앙으로 성전에 드나들 때, 성전이 훼파되어 무너지고 바벨론 포로로 잡혀가듯이 말입니다. 이는 거룩한 성전을 정결케 하시려는 의도가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께서는 선지자들의 예언을 통하여 다시 돌아오게 하십니다. 잠시 징계가 있었지만 긍휼과 사랑으로 돌아오게 합니다. 불신 이방 민족은 몰라도 주님의 자녀는 꼭 돌아오게 하시겠다는 것이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이제 하나교회에도 그동안 개인사유 또는 고난 때문에 떠났던 백성들이 돌아오기를 소망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거짓에서 참으로 회복”시켜 주세요.
● 세상 위인들은 그 명성과 이름이 후대에 이어지면서 귀감과 교훈이 되어 삶의 유익이 됩니다. 그러나 거기에는 생명이 없다는 것이 흠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들을 통하여 전하는 말씀은 하나님의 영광을 높이며 우리에게는 영원한 생명을 줍니다.
● 오늘 본문은 거짓 신앙은 무너뜨리고 참된 신앙으로 회복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무너지는 안타까운 심정으로 보내신 사람이 등장합니다, 그 이름은 느헤미야입니다.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위로의 지도자입니다. 위기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보내신 왕 같은 지도자입니다. 그는 정면 돌파의 리더십을 발휘합니다.
이때의 역사적인 상황은 이렇습니다, 유다(이스라엘)를 멸망시킨 바벨론은 오래지 않아 바사에 의해 멸망을 당했습니다. 그러니까 유다 백성들이 처음에는 바벨론에 포로 잡혀 갔지만, 바벨론이 바사에 멸망한 후에는 바사 왕의 통치하에 살게 된 것입니다.
본문은 아닥사스다(바사 왕) 20년(주전444경) 기슬르월(9월), 수산궁(겨울 궁전)에서 벌어진 상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시 느헤미야는 왕궁에 근무하는 신하였고, 고국(이스라엘)을 방문하고 돌아온 형제 일행의 보고를 받으면서 말씀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 먼저 느헤미야가 보고받은 고국의 상황은 어떠한가요?
♣2-3절> 2내 형제들 가운데 하나인 하나니가 두어 사람과 함께 유다에서 내게 이르렀기로 내가 그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유다와 예루살렘 사람들의 형편을 물은즉 3그들이 내게 이르되 사로잡힘을 면하고 남아 있는 자들이 그 지방 거기에서 큰 환난을 당하고 능욕을 받으며 예루살렘 성은 허물어지고 성문들은 불탔다 하는지라
이때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고국으로 돌아가는 중이었고, 그 중 몇몇 사람들은 이미 고국을 방문하고 돌아와 왕궁에서 근무하는 형제 느헤미야에게 상황을 정확히 알려주면서 어떻게 유다 백성들이 고국으로 돌아가 살지를 구체적으로 의논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 보고를 받은 고국의 소식을 접한 느헤미야의 반응은 어떠했습니까?
위기를 만났을 때, 세상권력자를 먼저 찾아갔습니까? 기도의 자리에 있었습니다.
♣4절> 내가 이 말을 듣고 앉아서 울고 수일 동안 슬퍼하며 하늘의 하나님 앞에 금식하며 기도하여
● 이제 느헤미야는 누구에게 어떻게 기도를 했을까요?
① 기도하는 대상? 하나님이 어떠한 분이신지를 고백하면서서 기도를 시작합니다.
♣5절> 이르되 하늘의 하나님 여호와 크고 두려우신 하나님이여 주를 사랑하고 주의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 언약을 지키시며 긍휼을 베푸시는 주여 간구하나이다
이 대목은 기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느헤미야는 ‘언약’에 근거해서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언약하신 대로만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그러기에 성도는 그분의 언약을 알아야 하고, 언약하신 것이 이뤄지기를 소망하며 살아야 합니다. 느헤미야는 언약의 하나님을 믿기에 언약대로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언약에 관심이 없는 자는 언약과 무관한 자기 욕망을 기도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자의 시선으로 본문을 읽으면, 느헤미야의 기도가 ‘나라를 빼앗긴 설움 때문에 고국으로 돌아가기 원하기에 기도 한다’고 이해하면서 느헤미야 애국심을 높이게 됩니다.
② 기도 내용은? 언약을 근거로 기도합니다.
• 언약을 어긴 것에 대한 회개와 자복하는 기도입니다.
♣6-7절> 6이제 종이 주의 종들인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주야로 기도하오며 우리 이스라엘 자손이 주께 범죄한 죄들을 자복하오니 주는 귀를 기울이시며 눈을 여시사 종의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이 범죄하여 7주를 향하여 크게 악을 행하여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과 율례와 규례를 지키지 아니하였나이다
언약에 근거하여 죄악을 고백하고 있고, 지금 저희들이 이방 나라에 살게 된 것이 언약을 불순종한 이유 때문임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기도의 내용 전체가 언약의 기도입니다.
우리들도 무작정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 말씀을 붙들고 기도해야 합니다.
• 언약을 다시 기억해주시기를 구하는 기도입니다(신30:1-4).
♣8-9절> 8옛적에 주께서 주의 종 모세에게 명령하여 이르시되 만일 너희가 범죄하면 내가 너희를 여러 나라 가운데에 흩을 것이요 9만일 내게로 돌아와 내 계명을 지켜 행하면 너희 쫓긴 자가 하늘 끝에 있을지라도 내가 거기서부터 그들을 모아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 하신 말씀을 이제 청하건대 기억하옵소서
약속을 근거로 고국에 돌아갈 수 있기를 간구하고 있습니다. 고국으로 돌아가야 할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내 이름을 두려고 택한 곳에 돌아오게 하리라”는 언약 때문입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의 존재 이유이기도 합니다.
●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하는 자들입니다. 그리고 예루살렘은 주의 이름이 거하는 성전이 있는 곳이고, 그곳에서 주님의 백성이 주를 높이며 경배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말씀에 불순종해서 그곳에서부터 추방되었고, 이제 다시 회개하고 주님의 이름을 높이기 위한 성전으로 모이기를 원하는 것은 언약에 근거한 주님의 백성으로서 주를 높이려는 것입니다. 개인의 안일과 행복을 위함이 아닙니다.
● 왜 느헤미야가 고국에 돌아가서 성벽을 재건하고 거기서 살기 원할까요?
육신의 평안이 아니라 주님의 언약에 따라 주의이름을 찬양하며 살기 원하는 것입니다.
하나교회 성도들도 이제 주님을 예배하기 위하여 회개하고 예배의 장소로 돌아오기를 소망합니다. 언제까지 머뭇머뭇하시렵니까?
댓글0개